목록우분투 (25)
Since 1982
프로그램 - 추가/제거 를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찾기에서 nateon 검색 변경사항 적용하면 끝 프로그램 - 인터넷에 보면 네이트온이 있을 것이다. 윈도우처럼 운세, 쇼핑 이딴것은 없고 메신저 기능에만 충실한듯... kde용이라고는 하지만 우분투에서도 잘 돌아가니 그냥 사용 pidgin 인터넷 메신저를 통해 네이트온에 접속해서 네이트온을 사용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네이트닷컴에서 리눅스용 네이트온을 제공해주는데 피진 메신저를 사용할 이유는 없는거 같다. ㅋㅋㅋ
무선랜이 된 기념으로 우분투 테마변경과 배경화면을 바꾸었다. 일단 우분투 스튜디오 테마를 설치하고 컴피즈퓨전을 설치했다. 인증샷ㅋㅋㅋ
내 노트북은 xnote e300-ap81k이다 일단 비스타에서 xp로 다운그레이드 하고, 우분투 8.10으로 멀티부팅을 만들었다. 학교에서는 네스팟을 이용하고 집에서는 zio 무선공유기를 이용한다. 윈도우에서는 쉽게 유,무선랜을 잡는다 하지만 우분투에서는 유선랜은 쉽게 잡았었다. 그런데 무선 공유기를 이용할려고 하는데 무선랜은 쉽게 잡을 수가 없었다. 워낙 허접한 초보 리눅서기 때문에 한참동안을 삽질 했다. 하지만 끝없는 구글링을 통해 해결책을 찾았다. http://hitme.tistory.com/15?srchid=BR1http%3A%2F%2Fhitme.tistory.com%2F15 이블로그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해결책을 제시해주신분께 감사를 드리며.... 일단 무선랜은 atheros ar5007eg 다..
우분투와 xp를 멀티 부팅 한 이후 생각지도 못하게 우분투에서 xp에 있는 파일들을 마구 마운트해서 깜짝 놀랐다. 우분투로 부팅을 하고 나니까 xp를 깔고, 자료를 마구 깔아 놓았던 c, d 드라이브가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 결론적으로 우분투에서는 내 컴퓨터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열어볼수가 있다. ntfs 포맷이건 ext3포맷이건 그냥 열린다. 편하구나... 우분투와 xp가 파일을 공유할려고 하면 삼바 서버를 구축해야 한다고 들었었는데 그냥 되니 편하다. 하지만 xp에서는 우분투 파일이 읽혀지지 않는다. ms 바보!
한동안 우분투를 vmware에 올려서 사용했었다. 그 이유는 내가 노트북에 비스타를 사용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학기 웹기반시스템개발이라는 과목때문에 삽질하다가, 결국 비스타를 포기하고 xp로 다운그레이드를 했다. 하지만 그동안 vmware에 올려 사용하던 우분투가 그리워서, 이번에는 멀티부팅으로 할려구 했다. 그냥 윈도우 깔고 리눅스씨디를 넣고 부팅을 하면 바로바로 깔린다고 알고있다. MBR도 grub가 알아서 잡고...-_-;;; 그래 하는 방법은 다 알고 있다. 이제 시도 해보자!! 결론만 말한다면 실패 했다. 무슨 MP-BIOS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설치도 안된다. 하지만 역시 정보화시대다. 쉽게 문제점에 대해 알수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ATI계열의 그래픽카드를 가진 사용자들이 겪는거 같다...
현재 세개의 OS가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에 CENTOS 대신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하고 있다. 센스 R20은 기본적으로 Ubuntu 등의 최신 커널 버젼을 받아들이기 못하고 있다. 둘다 서로를 밀쳐내고 있다는 느낌이다. 서로 궁합이 안맞다는 핑계를 대며 사랑하기 싫은게지 그러나 어쩌랴 주인을 잘못 만났으니 랩탑에 리눅스를 설치하는수밖에..난 한번 시작하면 끝장을 일단 봐야 희열을 느끼거든요. ㅋㅋㅋ 그런데 http://www.ubuntu.com 에서 데스크탑 버젼 8.04.1 을 다운받고 신나게 구워서 부팅하는 순간 먼가 이상한 메세지를 뿌린다. MP-BIOS 에러라는 둥 기타 등등 ISOLINUX 2007 Debian .... 부 팅 후 언어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온 후 Loading Linux Ker..
Q: MP-Bios bug I'm trying to install Hardy Heron on my XP, and I was getting the busy box thing, so went to the forums and saw that somebody had said to type in "all_generic_ide floppy=off irqpoll" in at the boot menu under install. I did this and it came up saying "MP-BIOS Bug: 8254 timer not connected to IO-APIC" What does that mean and how do I fix it? A : you can try adding noapic as a boot ..
터미널에서 xev 명령어를 실행한 뒤 한/영, 한자 키를 눌러 화면에 표시되는 키 값을 적어둡니다. $ xev 화면에 아래와 같이 나온다. 한/영키는 keycode 108 한자키는 keycode 105 키코드 값을 알았다면 아래 파일을 자신의 값에 맞게 편집한다. 현재 다른 값이 입력되어 있을 것 입니다. $ sudo gedit /usr/share/xmodmap/xmodmap.kr =========================================== keycode 105 = Hangul_Hanja keycode 108 = Hangul =========================================== 기존의 것을 '!' 하거나 지우고 위의 것을 추가 시켜줍니다. ! 는 #와 같이 주석..
[2] XAMPP 설치 - 기본 가이드 : http://www.apachefriends.org/en/xampp-linux.html 1) XAMPP Linux 1.6.1 download : #tar xvfz xampp-linux-1.6.1.tar.gz -C /opt (기본적으로 /opt/lampp가 설치 dir이다. 바꿀수가 없었음) 3) LAMPP 시작 #/opt/lampp/lampp start [3] XAMPP 환경설정 / 완료 기본적으로 설정을 완료하게 되면 아무나 접근가능하도록 설정이 되어있으며, 이의 보안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XAMPP는 이것도 shell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1) MySQL root 계정, ProFTPD 유저계정, PhpMyAdmin 암호 등을 쉽게 바꿀 수 있다. #..